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요] '가짜' 원도우 업데이트로 위장한 랜섬웨어 흔히 원도우10 레드스톤 이라 불리는 원도우 10의 1주년 업데이트가 국내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원도우 10을 업데이트 하고 있는 상황에 아주 위험한 바이러스가 출현하였다. 원도우 업데이트를 가장한 '가짜' 원도우 업그레이드 파일로 위장한 랜섬웨어가 나타났다. 원도우 업데이트로 가장한 랜섬웨어 그림을 보면, 현재 영어권 사용자를 타겟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짜 윈도우 랜섬웨어가 발견됬다. 위와같이 위장한 랜섬웨어 파일을 실행하면 'WindowsUpdata.exe'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이 시스템에 생성된 뒤 실행되며, '중요한 윈도우 업데이트'라는 말과 함께 진짜와 구분하기 힘든 가짜 업데이트 화면이 나타난다.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동안 랜섬웨어는 사용자 몰래 시스템 내 파일들을 암호화.. 더보기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PC 버전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 모바일 버전 : m.comcbt.com 기출문제 및 해설집 다운로드 : www.comcbt.com/xe 전자문제집 CBT 안드로이드 어플 : 구글플레이에서 전자문제집으로 검색 하세요.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PC 버전 및 어플 완벽 연동, 교사용/학생용 관리기능도 제공합니다. 더보기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2016년 기출문제 1과목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ls –l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심볼릭 링크 파일을 의미한다. ② 블록 구조의 특수 파일을 의미한다. ❸ 소켓 파일을 의미한다. ④ 입출력에 사용되는 특수 파일을 의미한다. 2. /root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test.txt 파일에 대해 모든 사용자가 읽기만 가능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chmod 111 /root/test.txt ❷ chmod 444 /root/test.txt ③ chmod 555 /root/test.txt ④ chmod 666 /root/test.txt 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❶ brw-rw---- ② crw-rw---- ③ drw-rw---- ④ lrw-rw.. 더보기 [리눅스마스터] 2급 1차 족보 dlff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w 공백을 무시하고 비교 작업을 수행한다. 파티션과 장치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hda는 첫 번째 IDE HDD를 나타낸다.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것과 관련이 없는 명령어는 ? find 배포판 설치 시 선택 할 수 있는 설치 유형이 아닌 것은 ? 메인프레임 시디롬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 eject 단지 LILO 버전을 보기 위한 명령어 옵션 ? lilo -v 시스템을 재시작하지 않고 종료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 reboot 리눅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최초 버전에서부터 멀티프로세서를 지원하였다. /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다. 다음 명령어들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root@ihd ro.. 더보기 Linux_ServerAdmin (12) 백업 과 복구 Linux_ServerAdmin (12) 백업 과 복구 ENTERPRISE LINUX ADMIN GUIDE 백업과 복구 백업 개요 백업 종류 백업 / 복구 명령어 tar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 백업 tar를 이용한 특정 디렉터리 데이터 자동 백업 tar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 미러링하기 tar를 이용한 리눅스 운영체제 백업 rsync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 백업 및 서버 동기화 rsync 서버 설정(/etc/rsyncd.conf) /etc/xinetd.d/rsync 설정 rsync 서비스 모듈(서비스명과 설명) 알아보기 로컬 시스템 데이터 백업 응급 복구 1 백업 개요(Backup Overview) 백업(Backup)의 개념 : 데이타나 정보가 지닌 가치를 보존하는 것으로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보호, 예기치 못.. 더보기 Linux_ServerAdmin (11) 스케줄링 관리 Linux_ServerAdmin (11) 스케줄링 관리 at 명령어 crontab 명령어 정기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EX: 스케줄링) (예) 한루에 한번씩 풀 백업(Full Backup) 특정한 시간때에 한번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 at CMD (atd)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 crontab CMD (crond) 1 at CMD at 데몬은 지정한 시간에 어떠한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작업 스케줄을 예약 처리해 주는 기능을 한다. at 스케 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t 데몬이 작동하고 있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atd 데몬을 동작시킨다. # service atd restart Stopping atd: [ OK ] Starting atd: [ OK ] (명령어 형식) # .. 더보기 Linux_ServerAdmin (10) 사용자 그룹관리 Linux_ServerAdmin (10) 사용자 그룹관리 사용자 관리 사용자 정보 파일 사용자 관리 명령어 useradd CMD usermod CMD userdel CMD 그룹 관리 그룹 정보 파일 그룹 관리 명령어 groupadd CMD groupmod CMD groupdel CMD 패스워드 에이징(password Aging) 1. 사용자 관리 (1) 사용자 정보 파일 /etc/passwd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가 저장된 파일 /etc/shadow 사용자의 암호가 저장된 파일 # cat /etc/passwd | grep root root:x:0:0:root:/root:/bin/bash (/etc/passwd 파일의 필드 해석) 필드 설 명 root 사용자 이름 x 사용자 암호(보안상 /etc/s.. 더보기 Linux_ServerAdmin (9) 리눅스 부팅과정 Linux_ServerAdmin (9) 리눅스 부팅과정 1 리눅스 부팅 과정(Booting Sequence) [리눅스 부팅 과정] ■ 1 단계 :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단계 ■ 2 단계 : 부트 로드(Boot Loader) 단계 ■ 3 단계 : 커널(Kernel) 단계 ■ 4 단계 : Init 단계 0 단계 : 전원 스위치 ON 단계 시스템 전원공급 메인보드의 ROM-BIOS에 있는 BIOS프로그램 자동실행 한다. BIOS 프로그램은 전원공급과 함께 메모리의 특정번지(예:FFFF0H)에 자동 로드된다. CPU는 전원공급과 함께 특정번지(예:FFFF0H)의 BIOS프로그램(명령들)을 자동실행 한다 [참고] BIOS(Basic Input/Output Syst.. 더보기 Linux_ServerAdmin (8)Software관리 Linux_ServerAdmin (8)Software관리 (1)RPM 패키지 관리 [참고] 오픈소스 프로젝트(한국 미러링 사이트) http://ftp.daum.net http://ftp.kaist.ac.kr http://mirror.khlug.org http://mirror.korea.ac.kr http://ftp.neowiz.com/pub http://mirror.cdnetworks.com (1) RPM(Redhat Package Manager) (EX) kernel-2.6.18-348.el5.rpm -> Redhat, RHEL, Fedora, CentOS RPM(Redhat Package Manager)이란 Redhat사에서 패키지를 좀 더 쉽게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든 패키지 관리 프 로그램이다.. 더보기 Linux_ServerAdmin (7)SWAP관리 Linux_ServerAdmin (7)SWAP관리 SWAP이란? SWAP? 디스크내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 물리적인 메모리(RAM) 연장 공간처럼 쓰이는 공간 스왑(SWAP)은 메모리 내의 데이터 페이지 또는 세그먼트를 교체하는 것이다. 스왑핑은 컴퓨터가 주기억장치보다 더 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룰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테크닉이다. 운영체계는 주기억장치 내에 가능한 한 많 은 데이터를 복사해 넣고, 나머지는 디스크 상에 남겨둔다. 운영체계가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필요로할 때, 주기 억장치 내의 데이터 일부를 디스크 상의 데이터와 교체한다. DOS는 스왑핑을 수행하지 않지만, OS/2, 윈도우, 유닉 스 등을 포함한 많은 운영체계들이 스왑핑을 수행한다. 스왑핑은 때로, 페이징이라고 불..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39 다음